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원

2025년 4인가구 중위소득표 & 건강보험료 기준표 총정리 (정부 지원금 자격 확인 필수)

by jxjxjx 2025. 6.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4인 가구 중위소득표와 건강보험료 기준표를 총정리해드릴게요!

이걸 알아야 나라에서 주는 다양한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거든요!

아래 표를 확인하시고

나는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되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1.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전국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 수준입니다.

정부 복지정책에서는 이 ‘중위소득’과 함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지원 대상을 판단합니다.

소득인정액이란?

단순히 급여나 사업소득 같은 실제 소득뿐 아니라
보유한 자산도 일정 비율로 소득처럼 환산하여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 예) 예금, 자동차, 전세 보증금 등 재산은 일정 비율을 월 소득으로 간주합니다.
  • 따라서 실제 월급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실소득 + 재산 환산 소득’ 합산한 금액이 소득인정액입니다.

2. 가구원 수 판단 기준

복지 혜택은 대부분 ‘가구 단위’로 지원 대상을 산정합니다.

  • 본인, 배우자, 미혼 자녀는 무조건 포함
  • 부모님은 같이 거주하거나 실제 부양하는 경우 조건부 포함
  • 주민등록상 분리된 가족은 제외 가능

따라서 주민등록과 실제 부양 여부에 따라 가구원 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소득 기준 산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3.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30% ~ 60%)

 

가구원수 30% 40% 47% 50% 60%
1인 700,200 933,600 1,097,000 1,167,000 1,400,400
2인 1,140,600 1,520,800 1,787,000 1,901,000 2,281,200
3인 1,471,800 1,962,400 2,307,000 2,453,000 2,943,600
4인 1,791,900 2,389,200 2,808,000 2,986,500 3,583,800
5인 2,099,700 2,799,600 3,290,000 3,499,500 4,199,400
6인 2,397,900 3,197,200 3,759,000 3,996,500 4,795,800

4. 2025년 중위소득 70% ~ 180% 구간 (참고)

가구원수 70% 80% 90% 100% 110%
1인 1,634,300 1,865,000 2,096,000 2,326,700 2,557,300
2인 2,660,700 3,040,200 3,419,900 3,799,400 4,179,000
3인 3,395,700 3,696,700 3,997,600 4,298,400 4,599,300
4인 4,142,900 4,735,000 5,139,000 5,543,000 5,947,000
5인 4,849,600 5,139,200 5,429,000 5,718,800 6,008,600
6인 5,416,400 5,721,600 6,027,000 6,332,200 6,637,400
가구원수 120% 130% 140% 150% 180%
1인 2,788,000 3,018,600 3,249,300 3,479,900 4,175,000
2인 4,558,500 4,938,100 5,317,600 5,697,100 6,834,900
3인 4,900,200 5,201,100 5,502,000 5,802,900 6,962,700
4인 6,351,000 6,755,000 7,159,000 7,563,000 9,071,000
5인 6,298,400 6,588,200 6,878,000 7,167,800 8,605,600
6인 6,942,600 7,247,800 7,553,000 7,858,200 9,426,600

5. 4인가구 건강보험료 기준표 (2025년 기준)


건강보험 가입유형 100%이하 120%이하 150%이하
직장가입자 182,836원 219,403원 274,254원
지역가입자 193,100원 231,720원 289,250원
 

위 기준은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25년 공식 고시 기준입니다.

 


6. 이 기준이 적용되는 대표 정책

정책명 주요 자격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 중위소득 100% 이하 + 근로소득 조건
첫만남이용권 출생아 기준, 소득 무관 (일부 지자체는 소득 기준 존재)
한부모가정 지원 중위소득 60~100% 이하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건강보험료 기준 사용
아동수당 4인가구 기준 100~200% 구간까지 적용
 

7. 마무리 요약

  • 2025년 4인가구 중위소득은 5,543,000원(100% 기준)
  • 4인가구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 100% 이하 기준은 약 182,836원
  • 중위소득과 건강보험료 두 기준 모두 충족해야 대부분의 지원 정책 신청 가능
  • 소득인정액은 실소득과 재산환산 합산한 금액이므로 실제 신청 시 참고가 필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즐겨찾기, 댓글, 공유 부탁드립니다!
🔔 더 많은 정책 정보와 생활 팁을 쉽게 전해드릴게요.

 

반응형

댓글